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본격화 되고 있지만 우리사회는 은퇴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인식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경제적으로 고충을 겪고 있는 베비이부머들이 은퇴 후에도 수월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8일 삼성경제연구소는 베이비부머중 취업자는 549만명(2009년 기준)이며 앞으로 9년간 은퇴하는 베이비부머들은 140만명~15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역시 2015년 퇴직자가 54만명으로 대졸자 50만명을 추월하고 매년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는 기업 경쟁력 손실과 더불어 자영업자수 증가 등 고용시장의 변화를 불러 올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베이비부머들의 고령화에 맞춘 새로운 인력 활용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들이 높다. 하지만 그들을 위한 대책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지난해 통계청은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통계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했다. 정부는 또 대통령 직속의 베이비붐세대 고용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지난 1월 베이비붐세대 미래구상포럼을 구성했지만 이미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시작된 시점에서 뒷북대책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이 생활 실태와 복지욕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부머 63.9%가 소득 등의 이유로 노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한다.

이에 노동부는 중견전문인력 고용지원센터를 개소하는 등 베이비부머들의 재취업과 창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전체 인구의 15% 달하는 베이비부머들의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특히 베이비부머들이 기존의 급여 수준과 근로 환경을 보장받을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현실적인 일자리 알선이 이뤄져야 하면 베이버부머 역시 기존의 근무 여건만 고집해선 안된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의‘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50대 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 비율은 39.3%를 기록했다. 30대 23.3%, 40대 29.8%에 비해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는 50대 근로자들이 열악한 근무조건 속에서 일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은퇴를 2년 앞두고 있는 김제춘(54)씨는“구조적인 문제를 들여다 보면 구체적인 대안이 시급하다”며“베이비부머들의 경력과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대응이 아닌 장기적 시각으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삼성경제연구소 정호성 연구원은 “베이비붐 세대는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보유자산이 충분하지 않아 일부는 은퇴 이후 취약계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단기적 대응보다는 은퇴 후 생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중장기적 대응이 필요하다. 노동시장에서 중고령자의 수요를 높일 수 있는 고령자 고용 유지 및 재고용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부미 기자(boomi@etoday.co.kr)

프리미엄 On-Off 경제지 이투데이

* 국비지원교육정보센터 www.gukbi.com / 계좌제닷컴 www.hrdclub.co.kr 는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최신뉴스를 엄선합니다. 문제가 되는 보도내용 또는 게제삭제를 원하는 경우 연락을 주시길 바랍니다. 내용수정 및 게제삭제는 본 사이트 공지사항을 참고해 주십시요